컴퓨터 과학 및 기술 연구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무료 화상 회의 프로그램을 비교하여 어떤 것이 가장 적합한지 살펴보려고 합니다. 코로나 시대에 이어진 원격 근무 문화로 인해 화상 회의 프로그램은 우리의 일상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원활한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온라인 화상 회의 플랫폼은 이제 비즈니스, 교육, 개인적인 용도까지 필수적인 도구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수많은 플랫폼들이 출시되면서 선택은 고민되고, 후회는 싫고, 최고의 플랫폼을 찾고 싶은 마음은 당연합니다. 이번 포스터를 통해 각 프로그램의 장단점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 가이드는 당신의 회의 스타일에 맞는 최고의 플랫폼을 찾도록 돕는 나침반이 될 것입니다. 함께 시작해볼까요? 온라인 화상프로그램 장.단점 비교 프로그램 ..
1. OFDM Basics ○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고속의 송신 신호를 다수의 직교성을 갖는 협대역 부 반송파(subcarrier)로 다중화시키는 변조 방식(wide band->narrow band) - 데이터열을 여러 개의 부채널로 동시에 나란히 전송하는 다중 반송파 전송방식의 형태 - 각 부반송파 파형은 시간축상으로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직교하나, 주파수 축 상에서는 겹치게 됨 - 동시에 ‘변조’ 및 ‘다중화’를 수행하는 전송 기법 - 단일 입력의 고속의 원천 데이터열을 다중의 반송파에 분할하여 실어 전송한다는 측면에서 ‘다중 반송파 변조’ 기술이며, 다중의 채널로 동시에 전송한다는 측면에서 `다중화` 기술 임 - ‘병렬 전..
1. Overview ○ MIMO concept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는 무선 통신의 용량을 높이기 위한 스마트 안테나 기술이다. MIMO는 기지국과 단말기에 여러 안테나를 사용하여, 사용된 안테나 수에 비례하여 용량을 높이는 기술이다. 여기서 기지국은 송신단을 의미하고 단말기는 수신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에 M개, 단말기에 N개를 설치할 경우 min(M,N) 만큼 평균 전송 용량이 늘어난다. 특별히 N = 1로 기지국에만 여러 개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를 MISO, M = 1로 단말기에만 여러 개 안테나를 사용 하는경우를 SIMO 그리고 (M,N) = (1,1)인 경우를 SISO라 부른다. MIMO 기술의 필요성에 대해 수신 처리 입장과 송신 처리 입..
1. Source coding concept ○ 정보신호에서 디지털 부호를 만드는 과정을 encoding, 부호를 해독하여 본래의 신호를 만드는 과정을 Decoding이라고 한다. 이 두 가지 과정을 처리하는 방법을 합쳐서 부호화 방식이라고 한다. 부호화 방식은 사용 목적에 따라 크게 원처부호화방식과 채널부호화 방식으로 나뉜다. ○ Source coding 원천부호화(source coding)는 정보신호를 전송하기에 적합하도록 효율적으로 부호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원래의 정보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고 데이터를 변환, 압축하여 제한된 대역폭에서 고속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소스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평균코드길이의 최소화를 지향한다. 원천부호화는 에러가 발생했을 때 오류검출 및 정정 능력이 매우 취약하..
1. Modulation / Demodulation Concept ○ Modulation 전달하고자 하는 신호(정보)를 목적지까지 효율적으로 보내기 위해 신호를 전송에 적합한 형태로 바꾸는 조작(주파수 Shifting, 디지털화 등)이다. 일반적으로 음성, 데이터, 화상 등의 신호는 주파수대역이 낮기 때문에 공간을 효율적으로 전파되기 어렵다. 따라서 공간을 매체로 하는 무선통신에서는 변조과정을 거쳐 높은 주파수대의 반송파에 실어서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자파를 전송해야 한다. 한편 유선통신에서는 전송매체(케이블, 도파관, 광케이블)의 전송 특성과 허용 대역폭에 따라서 낮은 주파수 신호를 그대로 전송하거나, 또는 변조 과정을 거쳐 높은 주파수대의 반송파에 실어서 전송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보내고자 하는 신호..
1. Multiple Access Concept ○ 무선 네트워크의 대표적인 접근 방법은 아래 그림과 같다. 이동국들은 각각 하나의 노드로 표시되고 공용의 다중 접속 자원을 위하여 서로 경쟁하여야 한다. 각 노드들은 다른 노드 또는 단말국과 통신하기 위하여 송신기와 수신기가 필요하다. 일반적인 방식에서는 어트 노드로부터의 송신은 주변에 있는 모든 노드들에서 수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둘 이상의 노드들이 동시에 채널에 전송하면 충돌이 일어나서 매체 중에 실린 신호들은 모두 왜곡되며, 그 신호를 수신하는 노드들은 무엇이 전송되었는지를 해독하지 못하다. 이러한 상황을 매체에서의 충돌, 또는 다중 접속에서의 문제로 분류된다. ○ 다중 접속에서의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서는 경쟁 기반 프로토콜과 무경쟁 또는 무충돌 ..
광통신시스템 개론 가. 광통신의 역사를 세대별 (1세대~4세대)로 설명하시오. 특징 1세대 2세대 3세대 4세대 광원 GaAS LED (0.8~0.9 ) MM LD (1.3 ) SM LD (1.55 ) SM LD 광섬유 MM 광섬유 SM 광섬유 SM 광섬유 (분산천이 Fiber) SM 광섬유 비트율 50~100Mbps 1Gps 2.5~10Gbps 2.5~10Gbps 중계기 10Km 50Km > 50Km > 50Km 특징 - - - 파장분할 다중화 (WDM) 나. (예제1.2) 세 개의 광소자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이득이 각각 G1=-3dB, G2=-10dB, 그리고 G3=20dB 이고, 입력 신호의 전력이 P1=0.5mW라고 한다. 출력 신호의 전력 P4를 구하라. 빛의 성질과 전송원리 가. (예제 ..
가. 파이프라인 기법 파이프라인 기법은 CPU의 사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명령을 겹쳐서 실행하는 방법으로, 하나의 CPU 코어에 여러 개의 스레드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는 한 명령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처리 4단계를 모두 마치고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지만, 파이프라인 기법에서는 명령어 처리 단계마다 독립적인 구성을 통해 각 단계가 쉬지 않고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CPU의 처리량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파이프라인에는 명령어를 가져오는 단계(instruction fetch), 디코딩하는 단계(instruction decode), 실행하는 단계(execution), 그리고 결과를 기록하는 단계(write-back)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단계는 동시에 여..
가. 버퍼(Buffer) 버퍼(Buffer)는 시스템 버스와 내부 버스 속도의 차이를 완화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시스템 내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속도와 외부 장치나 다른 시스템과 데이터를 주고받는 속도는 서로 다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버퍼는 임시 저장 공간으로서 작용하여 이러한 속도 차이를 완화합니다. 버퍼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으로, 느린 입출력 장치에서 데이터를 읽을 때마다 하나씩 전송하는 것보다 데이터를 일정량씩 모아서 한 번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송하는 데이터 양이 많아지고,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버퍼는 데이터의 흐름을 조절하고 데이터 처리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에도 도움을 줍니다. 버퍼는 다양한 시스템 및 응용 ..
가. CISC [ 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는 다양한 명령어로 구성된 복잡한 명령어 세트를 가진 CPU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입니다. CISC 아키텍처는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와 대비되며, 각 명령어가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CISC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명령어의 다양성: CISC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잡한 명령어 세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한 번의 명령어로 많은 일을 처리할 수 있어서 코드의 밀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명령어의 가변 길이: 명령어의 길이가 가변적이며, 일반적으로 16~64비트의 범위를 가집니다. 이는 다..
가. 연산 코드 (Operation Code) 연산 코드(Operation Code)는 CPU가 수행하는 연산의 종류를 나타내는 부분입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기능으로 나뉩니다: 연산 기능: 연산 코드는 사칙연산(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이동(shift), 보수(complement) 등의 산술연산과 논리곱, 논리합, 부정 등의 논리 연산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연산은 CPU의 ALU(산술 논리 연산 장치)에서 처리됩니다. 제어 기능: 연산 코드는 조건 분기(conditional branch)와 무조건 분기(unconditional branch) 등을 사용하여 명령어의 실행 순서를 제어합니다. 이는 프로그램 흐름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 전달 기능: 연산 코드는 레지스터와..
가. CPU 동작 순서 주어진 설명은 컴퓨터의 기본적인 동작 순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아래는 각 단계에 대한 설명입니다. 1. 보조기억장치 또는 입력장치에서 데이터를 주기억장치로 읽기: 보조기억장치(예: 하드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입력장치(예: 키보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주기억장치(예: RAM)로 전송합니다. 2. 중앙처리장치(CPU)에서 데이터 읽기 및 처리: CPU는 주기억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와서 처리합니다. 이 처리는 CPU의 연산(산술, 논리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3. 처리된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 다시 저장: CPU가 처리한 데이터를 다시 주기억장치에 저장합니다. 이는 계산 결과를 저장하거나, 다음 단계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준비하는 등의 목적으로 수행됩니다. 4. 주..
반응형
OurGenAI
'컴퓨터 과학 및 기술 연구' 카테고리의 글 목록